HRD 인사이트
우리 조직의 교육 성과, 점검해보셨나요?
💭 교육 성과, 어떻게 점검하시나요?
대부분의 기업교육은 ‘참여율’이나 ‘만족도’로 성과를 측정합니다.
하지만 중요한 건 교육 이후 실제로 변화가 있었는가입니다.
🔍 지금까지 진행한 교육, 아래 4가지 질문에 답해보며 점검해보세요.
교육이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되었나요?
✔ 단순히 들었는지가 아니라,
✔ 실제로 어떤 업무에 적용됐는지를 생각해봐야 합니다.
📌 예를 들어 OA 교육을 들었는데,
"보고서 양식에 변화가 있었는가?", "자료 정리 속도가 빨라졌는가?", "협업 커뮤니케이션이 더 명확해졌는가?"
구체적인 변화가 있었는지를 확인해보세요.
💬 HRD 담당자 Tip
“좋은 강의였어요”라는 피드백은 성과 지표가 아닙니다. 교육 이후 구체적인 실무 적용 사례가 있는지를 수치로 확인해보세요.
(예: 교육 후 주간 리포트 작성시간 20% 단축 등)
교육 대상자가 필요성과 목적을 이해하고 있었나요?
✔ 교육 대상자는 왜 이 교육을 듣는지 알고 있었을까요?
✔ 단순 ‘지시’로 받아들인 건 아닌가요?
📌 예를 들어 ‘신입사원 커뮤니케이션 교육’이라면,
"왜 커뮤니케이션 교육이 필요한지", "이게 내 성과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"
스스로 납득하고 있었는지가 핵심입니다.
💬 HRD 담당자 Tip
교육 참여 전에 “왜 이 교육을 들어야 하는지”를 담당자가 직접 설명해주는 브리핑 or 사전설문을 활용해보세요.
‘납득하고 듣는 교육’이 실제 효과를 높입니다.
교육 콘텐츠가 우리 조직의 현실에 맞춰져 있었나요?
✔ 어디서나 들을 수 있는 내용 vs 우리 조직에 최적화된 내용
✔ 사례가 우리와 유사한지, 우리 환경에 맞는 문제를 다뤘는지
📌 예를 들어 ‘디지털 리터러시 교육’이었을 때,
우리 조직의 업무툴(ex. 노션, 슬랙 등) 기반으로 설계됐는가?, 실무에서 겪는 애로사항(메일, 회의록 작성 등)을 반영했는가?
💬 HRD 담당자 Tip
“요즘 많이 한다고 해서 도입했어요”보다는 우리 조직의 니즈 기반 기획이 중요합니다.
기획 단계에서 사전 인터뷰/업무 분석을 반영하면 성과가 다릅니다.
교육 이후 구성원의 행동이나 성과에 변화가 있었나요?
✔ 교육을 수료한 것으로 끝나진 않았나요?
✔ 구성원이 이후에 다른 행동을 했는가가 가장 중요한 지표입니다.
📌 예를 들어 ‘보고서 작성 교육’ 후
"보고서 피드백 횟수가 줄어들었는가?", "상위결재자 승인 소요시간이 줄어들었는가?"
이처럼 행동과 성과로 연결되는 변화가 핵심입니다.
💬 HRD 담당자 Tip
성과 확인은 2~4주 뒤, 구성원 혹은 팀장 대상 후속 설문 or 인터뷰로 확인하세요.
숫자보다 ‘행동 변화’가 더 중요합니다.
📥 4가지 점검 항목, 한눈에 보고 싶다면?
많은 HRD 담당자분들이 요청 주셨던
✅ [교육 성과 점검 체크리스트 이미지]를 준비했습니다!
👇 간단한 설문을 응답하시면
PDF로 정리된 체크리스트 이미지 파일을 보내드려요.
※ 이 설문은 향후 교육 콘텐츠 고도화에도 활용됩니다.
의견 주시면, 우리 조직에 더 맞는 교육을 설계해드립니다.
📌 점검 결과, 이런 생각이 드셨다면?
🔻 "그땐 몰랐는데, 적용은 안 됐네…"
🔻 "교육은 했지만, 변화는 모르겠다…"
🔻 "우리 조직 맞춤이 아니었던 것 같아…"
그렇다면 지금이 교육 리디자인 시점입니다.
🎯 교육, ‘실행’을 바꾸는 구조로 설계해야 합니다
탈잉기업교육은 다음과 같은 원칙으로 교육을 설계합니다.
✔ 실무자 인터뷰 기반 니즈 도출 → 현업 맞춤 교육 콘텐츠 설계
✔ 사례 중심, 액션 중심 교육 구성 → 적용 가능한 지식 전달
✔ VOD+출강 병행 → 몰입도와 확장성 확보
✔ 교육 전/후 측정 설계 → 수치 기반 성과 확인 가능
단지 ‘좋은 교육’보다 ‘성과를 만드는 교육’이 필요하다면, 지금이 점검하고 새로 설계할 타이밍입니다.